티스토리 뷰
조현병의 핵심증상
- 망상 : 가장 대표적인 증상, 분명한 반증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지속되는 신념
- 환각 :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거나 또는 외부 자극에 대
해 현저하게 왜곡된 지각을 하는 경우임(환청, 환시, 환후, 환촉, 환미)
- 혼란스러운 언어와 행동 : 비논리적이고 지리멸렬한 와해된 언어를 뜻함
긴장증적 행동 : 마치 근육이 굳은 것처럼 어떤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를 말함
음성증상 : 감소된 정서표현, 무의욕증, 무언어증, 무쾌락증, 비사회성 외래서비스
조현스펙트럼장애의 이해
정신분열 스펙트럼 장애의 장애범주
조현증: 망상, 환각, 혼란스런 언어로 특징됨, 매우 각한 정신장애로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진단됨
2) 조현정동장애: 정신분열증의 증상과 우울증/조증삽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로서 정신분열 스펙트럼 장애
중에서 정신분열증과 함께 가장 심각도가 높은 장애에 속함
3) 조현형 장애: 정신분열병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증상의 지속기간이 1개월 이상 6개월 이하 임
4) 단기 정신증적 장애: 정신분열증 유사 증상을 하루 이상 1개월 이내로 단기간 나타냄
5) 망상장애: 한 가지 이상의 망상을 1개월 이상 나타내는 경우
6) 조현성 성격장애: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에 관심이 없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감정표현이 부족
한 성격적 특징을 나타냄
7)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: 정신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증상의 심각도가 덜하고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
조현병의 발병
조현병의 평생 발병률 : 0.2~1%
남녀간의 발병률 : 비슷
미국의 경우 : 정신과 병원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
발병 시기 : 남자 25세 이전,여자는 25세 이후
첫 입원 기간 : 평균 4~5개월
평균 입원 기간 : 10년 혹은 그 이상
조현병의 임상양상
1)정신분열증(Schizophrenia)은 망상, 환각, 혼란스런 언어를 주 특징으로 함
- 정신분열증의 진단기준 : 다음 중 두 개 이상의 증상
(1) 망상 (2) 환각 (3) 혼란스러운 언어(예: 빈번한 주제 이탈이나 뒤죽박죽 표현)
(4)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
(5) 음성 증상들(예: 감소된 정서표현이나 무의욕)
2) 한 가지 이상의 주요한 영역(직업, 대인관계, 자기 돌봄)의
기능 수준이 장해의 시작 전보다 현저하게 저하되어야 함
3) 장해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징후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함
3) 조현병의 하위유형
(1)망상형(Paranoid Type) : 피해망상, 과대망상
(2)혼란형(Disorganized Type) : 지리멸렬한 사고, 정동의 부조화
(3)긴장형(Cataonic Type) : 정신운동의 장애, 혼미상태만 있고, 흥분만 보이는
경우도 있음
(4)미분류형 조현병(Undifferentiated Type) : 몇 개의 증후군이 동시 에 나타남
(5)잔류형(Residual Type) : 조현병의 발병이 있고 난 후의 상태
조현병의 경과 및 예후
1)조현병 :많은 경우 만성의 경과를 밞음
2)조현병의 예후를 알려주는 지표(Stephen)
: 9가지 항목 중에 적어도 5가지가 있는 경우 긍정적인 예후를 보임
① 결혼한 사람,결혼한 관계에 만족하는 경우
② 평균 이상의 IQ
③ 구체적인 촉발적 사건
④ 중상이 발현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있는 경우
⑤ 직업력이 있는 경우
⑥ 명확한 우울 증상
⑦ 감정적 황폐화가 없는 경우
⑧ 조현성 인격이 없는 경우
⑨ 혼란과 혼동이 있는 경우
조현병의 약물치료
조현병 즉 정신분열병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, 이 경우 급성기의 경우에 약물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증상의 상당 부분을 호전시킬 수 있디고 합니다.
◈ 항정신성 약물 주된 용도
*급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 제거 및 경감
*환자관리와 통제의 용이
*조현병 재발 방지
◈ 약물치료의 제한점
*환자의 내재적 병리에의 접근 불가능
*병원에서의 환경적 요인을 무시 → 심리. 사회치료 필요
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
◈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
*이동방문서비스 : 팀을 구성하는 전문인력이 직접 서비스 제공
*쉼터서비스 : 자신의 집을 떠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설로 이동 → 며칠간 치료
*주거서비스 : 정상화의 원리, 제한의 최소화, 지역사회의 통합, 다양한 유형의 거주시설
서비스, 서비스의 통합 등의 운영원리
º 대상 : 독립적인 생활 불가능하여 돌봐 줄 사람 필요한 환자 퇴원 이후 거처할 곳이 없는
환자 돌봐 줄 보호자가 없거나 돌보아 줄 수 없는 상황
º 분류 : 그룹 홈, 중간시설, 보호주택, 지도감독주택, 독립주택
조현병과 사회복지사
◈ 사회복지사의 업무
* 병실 내 치료적 환경 정비
* 프로그램 기획, 평가
* 지역사회 자원발굴, 자원연결, 의뢰관계 확립
* 환자가족을 도와 가족협회 활성화 → 정신보건영역 사회복지사 활동 반경 확장
*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관심 증대
* 정신보건센터, 정신사회재활시설 활성화 → 환자의 사회복귀 토대
* 조현병 낙인방지사업
'Jen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업과 법률(채권자, 주주, 경영자, 근로자) (0) | 2022.11.14 |
---|---|
정신분석과 상담 그리고 치료 (feat.자아) (0) | 2022.11.13 |
배 선박에 대해서 (배의 기능과 종류, 국제해사기구 (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, IMO) (0) | 2022.11.13 |
선박 배의 종류 및 특징(faet.원유, 정유, 가스,화학물 - 운반선) - LNG란? (0) | 2022.11.13 |
바다 석유 기름과 가스의 생성 (feat.바다, 석유) (0) | 2022.11.13 |